서론 원래 다음 게임 리뷰로 해리포터를 하려고 하였으나 젤다의 전설:야숨을 한 후 해리포터 튜토리얼이 지루하게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올해의 게임으로 선정된 발더스게이트3를 하게되었습니다. 발더스게이트3는 방대한 내용과 복잡한 세계관을 갖고 있어저처럼 이러한 게임류가 처음인 분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방대한 내용인 만큼 리뷰를 나눠서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이번 리뷰는 발더스게이트3 세계관 리뷰입니다. 게임의 세계관은 게임을 몰입하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발더스게이트3의 세계관은 오래전부터 구축되어 온 깊은 배경을 가진 세계관입니다. 한국에서는 다소 인지도가 낮아 세계관을 짚고 넘어가면 좋을 거 같아 적어봅니다. 해당 게시물에는 스토리에 대한 부분은 언급하지 않을 것입니다. 스토리가 궁금하신..
1. Menu Bar(메뉴 바) 이 메뉴를 사용하여 에디터별 명령과 기능에 접근한다. - 알아두면 유용한 설정들 언어변경: Edit -> Editor Preferences-> General -> Region & lanuage -> Editor Language 언리얼엔진4 레이아웃 설정: Window -> Load Layout -> UE4 Classic Layout 디폴트 레이아웃 설정: Window -> Load Layout -> Default Classic Layout 2. Main Toolbar(메인 툴바) 1. 모드 선택 선택(Select Editing): 씬(scene) 내의 액터(actor)들을 선택하고 조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액터들을 클릭하고 드래그하여 위치를 조정하거나, 크기와 방향을 변..
* 이 리뷰는 저의 주관적인 생각만 담았으며 저와 같이 게임을 못하는 분에게 참고가 되고자 작성되었습니다.* 저는 여자라 그런지 주변에 스위치를 가진 친구들은 대부분 동물의 숲과 같은 힐링게임을 많이 합니다. 그래서 젤다나 메트로이드와 같은 게임을 하는 친구가 없어서 젤다가 어느 게임인지 가늠이 되지 않았습니다. 근처 게임샵에서 중고로 나왔길래 사놓고 처음으로 젤다를 사왔고 방학이 되어서야 게임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내 기준(매우 게임 못함) 게임 추천도: 9 / 10 게임 난이도: 9 / 10 적 공포도: 7 / 10 저는 주로 아르세우스 같은 그리 어렵지 않은 오픈월드 RPG만 해봤는데, 젤다와 같은 오픈월드 RPG은 처음 접하는 게임이였습니다. 근데 젤다를 처음 접하게 된 것은 실수였던거같아요....
Unreal Engine 설치에 대해서 알아보자 1. Epic 런처 다운로드 Unreal Engine은 Epic Games에서 제작한 강력한 게임 엔진이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Epic Games 런처를 설치해야한다. 하기의 링크를 통해 런처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설치 경로는 개인의 선호에 따라 설치한다. https://www.unrealengine.com/ko/download Download Unreal Engine 다음 단계를 따라 언리얼 엔진을 다운로드 후 설치하세요. www.unrealengine.com 2. Epic 로그인 / 회원가입 Epic 런처를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면 로그인 화면이 나타난다. 만약 게임을 즐겨하는 사용자라면 Steam 계정을 이미 가지고 있을 수 있고, 이를 사용..
최근 중국 정부는 미성년자 보호와 건강한 온라인 게임 환경 조성을 위해 새로운 게임 규제를 발표했다. 이 규제는 생각보다 강도가 높아 이 발표를 통해 주요 게임 회사들의 주가는 크게 폭락하였다. 규제들의 내용에는 이러한 것들이 있다. - 게임 규제 강화 1. 매일 접속 보상 금지: 게임 회사들은 이제 매일 접속하는 플레이어에게 추가 보상 제공을 금지한다. 2. 최초 충전 보너스 금지: 게임 내 재화의 최초 구매 시 추가 보너스를 제공하는 것도 금지한다. 3. 이용자 지출 한도 설정: 게임 서비스는 이용자별 지출 한도를 설정한다. 4. 과도한 구매 시 경고: 플레이어가 지나치게 많이 구매할 경우 팝업 경고를 표시한다. 5. 추첨 횟수와 확률의 합리적 설정: 확률형 아이템은 확률을 합리적으로 설정해야 하며,..
말이 많았던 유니티의 새로운 런타임 요금제에 대해 짧게 짚고 넘어가려고 한다. - new 'Runtime Fee' 유니티가 24년 1월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정책을 발표하였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게임을 설치할 때마다 개발자에게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삭제 후 재설치 시에도 동일하게 수수료가 부과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게임설치를 하고 게임 삭제 후 다시 게임이 하고 싶어 설치하면 설치 수수료가 또 부과된다. - 결과 이러한 정책은 많은 개발자, 개발사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비판이 거세지자 유니티는 해당 정책을 여러번 수정하다가 결국 철회하였다. 결론적으로 수익의 2.5% 혹은 다운로드 수수료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수료 부과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사건은 마무리 되었지만, 이로 인해..